수학2에서 함수의 극한을 배운 다음에는, 함수의 연속과 불연속을 배웁니다. 먼저는 한 점에서의 연속을 배우고, 구간에서의 연속을 배우죠. 그리고 주로 문제를 풀 때는 불연속 점의 개수가 유한개인 다룹니다. 아래처럼요. 그래서 이번엔, 불연속 점의 개수가 무한개인 함수를 다뤄볼까 합니다. 좀 더 나아가서 모든 점에서 불연속인 함수를 알아볼거에요. x=a로 다가가는 극한값 현 고등학교 교육과정은 x가 a로 다가갈 때, 왼쪽/오른쪽으로 좌/우만 관찰합니다. 이를 좌극한/우극한이라고 다루죠. x=a에서 연속일 때 아래 명제가 성립합니다. 조금 더 자세히 보자면, 즉 리미트 기호가 함숫값 안쪽에 들어갈 수 있단 말이죠. 여기서 괄호 안쪽을 볼 겁니다. a로 다가가는 극한값은 사실 다양한 방식을 쓸 수 있습니다. ..